요즘 장년층 이상 연령대의 사람들이 모인 자리에서는 ‘치매’가 심심찮게 화제로 대두되곤 합니다. 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정보화, 국제화, 고령화의 커다란 변화는 우리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요. 인류가 오랫동안 염원했던 불로 장수의 꿈에 다가가게 되었지만 한편으로는 그로 인해 케어를 필요로 하는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치매 문제는 해결이 시급한 과제가 되었습니다.▶고령화 사회로 인해 증가하고 있는 치매 환자 수고령사회를 앞두고 노인이 노인을 ..
‘이연연상(二連聯想)’이란 하나의 개념이 다른 관념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사물이나 정보, 지식 등 서로 이질적인 두 가지 이상의 것을 엮어내는 현상을 뜻합니다. ‘커피와 연금’은 상관없어 보이지만 이 두 단어에는 노후준비라는 공통점이 있는데요.데이비 맥캔들리스는 그의 저서 <정보는 아름답다>에서 연금과 커피는 구성 요소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이 두 가지는 기본적으로 3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1층은 ‘국민연금과 에스프레..
여러분들은 돈을 어떻게 썼을 때 만족감을 느끼시나요? 누군가는 오랫동안 벼르던 물건을 구입했을 때 행복할 수 있고, 또 누군가는 짧은 시간이지만 알찬 시간을 보냈을 때 더 기분이 좋을 수도 있습니다. 소비는 크게 ‘소유’와 ‘경험’을 위한 소비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과거 우리 부모님 세대는 소유를 위한 소비가 대부분이었는데요. 자동차, 집, 옷 등을 소유하고 사용하면서 행복을 느끼는 것을 말합니다. 사실 이런 소유를 위한 소비의 행복감은 단발적이고 ..
미국 최고의 부자 락펠러 가문의 안주인이었던 블란쳇 락펠러, 뉴욕 현대미술관장이었으며 사교계의 여왕이었지만 그녀의 말년은 비참했습니다. 83세로 세상을 떠난 그녀의 병명은 바로 치매. 미국의 로날드 레이건 前 대통령, 영국의 마가렛 대처 수상, 영화 <벤허>의 주인공 찰턴헤스턴, <황야의 7인> 찰스 브론스 모두가 치매로 고통받다가 생을 마감한 유명인인데요.고령사회(aged society)에 진입한 우리나라도 안심할 수는 없습니..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고령자는 전체인구 중 13.8%(707만6천 명)를 차지하고 있어 곧 고령사회(65세 고령자 비중 14% 이상)로 진입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연령별로는 65~69세와 70~79세는 비중이 감소하는 반면, 80세 이상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이처럼 고령기가 장기화되면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현상이 노인성질환인 치매발병입니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2015년 국내 치매 환자는 약 65만 명, 전체 65세 이상 ..
우리나라의 노후빈곤율이 49.6%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표면적으로는 다층소득 보장체계를 갖추고 있지만 선진국과 비교하면 공적연금 제도가 상대적으로 늦게 도입됐고, 근로자의 퇴직금이 중간 정산으로 소진된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개인연금 가입률도 높지 않아 직장에서의 퇴직과 동시에 소득절벽과 마주하게 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지난 2007년 7월 도입된 주택연금은 당초 상품의 복잡성과 주택을..
- Total
- 8,656,449
- Today
- 417
- Yesterday
- 3,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