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토교통부는 서울 및 경기권의 국지적 부동산 과열 현상 해소를 위해 8.27부동산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금년 초 이후 주택시장의 전국적 안정세에도 불구하고 최근 서울과 일부 지역은 국지적 과열 현상이 일어났기 때문입니다. 한국감정원의 2016년 대비 올해 7월 시도별 주택 가격 상승률을 보면 서울은 8.6%로 전국 평균(2.4%)은 물론 경기도(2.9%), 부산(3.7%), 대구(2.1%), 광주(2.9%) 등 다른 지역을 크게 앞섰습니다. 5..
미국 증시가 경기 호황을 배경으로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30개 우량주들로 구성된 다우지수는 26,000포인트를 재차 상향 돌파했고 미국 증시를 대표하는 500개 종목으로 이뤄진 S&P 500지수는 2,900선에 육박하며 사상 최고치를 다시 썼고요.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지수는 사상 최초로 8,000고지를 웃돌았는데요.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이 해결되지 않고 있고 터키 통화 가치가 폭락하는 등 일부 신흥시장이 불안한 ..
세계 주요 도시 부동산은 몇 년간 엄청난 상승세를 구가했습니다. 그러나 올해 상반기 세계 주요 도시의 주택 가격이 폭락하면서 한국 부동산 가격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각국이 경기를 활성화하려는 방안으로 사용한 재정 정책은 세계적으로 수 경원에 달하는 천문학적 금액을 풀었습니다. 이에 2008년 당시 저점을 찍은 세계 주요국의 부동산 시장은 이후 연평균 5~13%대의 상승세를 구가했습니다. 하지만 올 상반기..
최근 국내외 금융시장에는 커다란 변화가 발생했는데요. 각국 중앙은행들이 기준금리를 적정한 수준으로 조정하기 위해 고민하는 가운데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가 역전된 것이죠. 미국 연준은 지난 3.20(화)~21(수) 개최된 올해 두 번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1.5~1.75%로, 0.25% p (25bp) 인상했습니다. 한국은행이 정한 기준금리는 1.5%이니까 미국 금리가 한국 금리보다 높아진 것이죠. 이로써 한미 기준금리는 ..
‘뉴애브노멀(New abnormal)’ 이라는 단어를 알고 계신가요? ‘뉴애브노멀’이란 저성장, 저금리, 저물가 등 새로운 경제 생황이 고착화 되는 상황을 의미하는 ‘뉴노멀’과 대비되는 단어인데요.시장의 변동성이 일시적이지 않고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더욱 더 커진 상황을 일컫는다고 합니다. 은퇴설계에서 시장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은 노후를 준비하는 사람에게 큰 고민거리입니다. 과거에는 고금리, 고성장 시대를 살아온 세대들은 열심히 저축하는 것..
2017년은 그야말로 변화의 한 해였습니다. 코스피는 이전 6년 동안 헤어나지 못했던 박스권에서 마침내 탈피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코스닥도 10년 만에 장중 800선을 탈환하기도 했는데요. 한국은행은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세 차례나 상향 조정하는 한편 기준금리를 6년 5개월 만에 처음으로 인상했지요. 저금리 저성장 기조에도 변화의 조짐이 감지되는 대목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2018년 투자 기회에서 소외되지도 않고 과도한 ..
- Total
- 8,658,590
- Today
- 2,558
- Yesterday
- 3,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