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

저축의 날! 스마트한 재테크 전략 Best 4 ‘월급날 퍼가요~!!’라는 말, 한번 쯤 들어보셨죠? 월급이 들어오자마자 각종 카드값과 세금, 통신료 등으로 돈이 빠져나가고 나면 잔액이 남지 않는다는 뜻의 우스갯소리였는데요. 특히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2.25%에서 2.0%로 인하하고 은행들의 예금 금리가 잇달아 1%대로 진입하고 있어, ‘현명한 저축과 재테크 방법’이 큰 화두로 떠오르고 있죠. 별다른 계획 없이 소비 후 남는 돈만을 저축해서는 미래를 준비하기 힘든 시대! 오늘 ‘저축의 날’을 맞아 전략적인 저축, 스마트한 재테크의 기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축의 기본은 장단기전략 - 저축의 고수는 미래를 본다 오늘도 텅 빈 통장을 보며 걱정스러운 신입사원 한그래씨. 사내 저축왕으로 통하는 우과장님을 찾아갔는데요. 우과장님은 한그래씨의 고민.. 2014. 10. 28. 더보기
독일의 고령화문제 해결책, 리스터연금 알아보기 2003년 미국에서 방영된 ‘잿빛새벽(Grey Dawn)’이라는 TV만화영화가 있었습니다. 머리가 허옇게 센 노인들의 시대가 열리고 있음을 빗대어 만든 제목인데요.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된 유럽에서는 이미 ‘잿빛새벽’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죠. 독일은 1932년에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다음, 선진국 중에서도 가장 빠른 1972년에 고령사회로, 2008년에 65세 이상 노령인구가 전체인구의 20%이상을 차지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습니다. 특히 독일의 인구구조를 살펴보면 2014년 현재8,260만 명 정도로 유럽연합 내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국가고, 전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16번째 국가이기도 한데요. 이 인구의 20%가 65세 이상이라고 하니 노령인구가 정말 많은 거죠. 일반적으로 인구변화의 추.. 2014. 10. 27. 더보기
투모로우드리머즈가 바라 본 한화생명의 따뜻한 세상 만들기 여러분에게 ‘봉사활동’이란 단어는 어떻게 다가오시나요? 저희 투모로우 드리머즈 기억 속에 봉사활동은 부끄럽지만 학창시절 봉사시간을 채우기 위한 활동, 봉사 보다는 시간을 쫓아 했던 활동이었던 것 같은데요. 대학생이 되어서도 봉사동아리를 통해 봉사활동에 참여하기도 했지만, 여전히 꾸준한 ‘시간’을 내면서 참여하기가 쉽지 않은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번에는 한화생명 투모로우 드리머즈 활동을 통해 한화생명 사회공헌 활동에 함께 참여하게 됐는데요. 꾸준히 시간을 축적하며 봉사의 손길을 이어오고 있는 한화생명 사회공헌 활동을 알게 되고 함께 할 수 있어서 봉사에 대한 의미를 다시 깨닫는 시간이 됐었답니다. 그럼, 지금 같이 마음 한 켠이 따뜻해지는 한화생명 봉사활동 만나볼까요? ▶ 엄마의 마음 그대로~ 맘스케어 주.. 2014. 10. 25. 더보기
초저금리 시대, 투자는 어떻게 해야할까? 한국은행은 지난 10월 15일 개최된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종전 2.25%에서 2.0%로 인하했습니다. 한은은 올 8월에 지난해 5월 이후 15개월 만에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한 바 있는데, 2개월 만에 또다시 금리를 낮춘 것인데요. 이번 기준금리 인하는 청와대가 구성한 새 경제팀의 적극적인 경기부양 정책과의 공조적 노력으로 파악되며, 이로써 현행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사상 최저치인 2.0%로 떨어졌습니다. ▶은행 정기예금 금리 1% 대로 추락 기준금리 인하 이후 가뜩이나 낮은 시중금리는 더 하락하고 있는데요. 시중 은행들의 주요 1년 만기 정기 예금 금리가 잇달아 1% 대에 진입해, 우려했던 1% 금리 시대가 현실화 되는 모습이지요. 더욱이 우리나라의 물가 상승률.. 2014. 10. 24. 더보기
피케티 열풍, 그리고 자산관리의 시대 최근 한 권의 책이 출판가를 넘어, 사람들의 SNS에서 오르내리기 시작했습니다. 그 후에 정치권에서 이 책을 논하는 기사가 나오더니 최근에는 빌 게이츠가 정식으로 이 책의 서평을 자신의 블로그에 남겨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바로 전세계적으로 ‘피케티 열풍’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프랑스의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의 ‘21세기 자본’이라는 책인데요. 한국 정식 출간에 이어 피케티 교수가 방한하는 등 한국에서도 ‘피케티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피게티의 '21세기 자본' 핵심 보기 피케티의 ‘21세기 자본’은 실증을 바탕으로 자본주의로 인해 소득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면서 부유세 도입을 주장한 책인데요.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해보자면 먼저 돈이 돈을 버는 속도 즉 ‘자본수익률’은 경제성장률보다 항상 .. 2014. 10. 23. 더보기
소설<홍어>에서 배우는 종잣돈 마련의 지혜 뉴스를 보면 “주식 투자로 100만원에서 10억 벌기 성공” 등 재테크로 큰 이윤을 남긴 사람들의 기사가 종종 소개되곤 합니다. 심지어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연예인도 “OOO 스타, 무슨 투자로 OO억원 대박”을 터뜨렸다는 소식도 들리고요. 내가 투자한 주식은 마이너스는 면했다는 사실에 그나마 위안삼고 있는 것이 현실인데, 들려오는 소식은 왜 이렇게 다들 큰 돈을 버는지 배가 아프기만 합니다. 이렇듯, 현대인에게 재테크는 필수로 해야 하는 경제 활동이 되었는데요. 함부로 전략 없이 했다간 본전도 못 찾는 경우도 비일비재하죠. 그렇다고 안 할 수도 없는 일. 실패가 두려워서, 혹은 복잡한 게 싫거나 매월 들어오는 월급에 만족한다면, 작은 돈에도 전전긍긍하는 신세를 면하기 어렵죠. 천릿길도 한 걸음부터라는.. 2014. 10. 21. 더보기
돈 버는 투자자가 꼭 보는 기업의 성적표 국내 증시가 다시 활력을 잃은 모습입니다. 지난 여름에만 해도 코스피는 2100 포인트에 육박하며 전고점을 뛰어넘을 기세였는데요. 최근에는 다시 1900 선 붕괴마저 위협받고 있죠. 주가가 상승 탄력을 잃고 하락한 대표적인 이유는 바로 국내 기업들 의 실적에 대한 우려 때문이었는데요. 주가는 궁극적으로 기업이 창출하는 이익에 연동돼서 움직인다는 점을 감안할 때, 기업의 실적이 양호하면 주가는 상승하고 실적이 부진하면 주가가 하락하는 것은 당연하겠죠. ▶소극적 투자 vs 적극적 투자 일반적으로 주식에 투자하는 데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답니다. 흔히 소극적 투자와 적극적 투자로 나누는 것이죠. 소극적 투자는 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것이고 적극적 투자는 개별 주식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시가총액이 높은 상위 10.. 2014. 10. 21. 더보기
도마 위에 오른 단통법, 휴대폰 가격은 내릴 수 있을까? “인터넷에서 휴대폰 케이스 좀 고르려고요.” 점심시간, 식사하자마자 사무실 컴퓨터 앞에 앉는 H 씨. 급한 일이 있느냐고 묻는 부장님께 이렇게 대답합니다. 단통법, 즉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후 인터넷 쇼핑몰의 휴대폰 케이스 판매량이 급증했다는 소식인데요. 값비싼 휴대폰을 오래 사용하려는 소비자들의 심리가 반영된 것이죠. 지난 13일, 국정감사장에서는 ‘휴대폰 가격 인하 정책’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는데요. 단통법 때문에 술렁이는 이동통신 가입자들은 이 정책이 시행될 수 있을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휴대폰 가격 인하 정책 시행 여부와 함께 한 주간의 경제 이슈에 대해 살펴보시죠. ▶ 휴대폰 가격 인하 정책, 실현될 수 있을까? 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가 열렸던 지난 13일. 감사에.. 2014. 10. 20.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