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2018 아동수당 선정 기준과 신청 방법, 소득인정액 계산방법은? 연간 120만 원의 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새로운 복지제도가 시작됩니다. 바로 ‘아동수당’인데요. ‘아동수당’은 무엇인지, 또 어떻게 하면 받을 수 있는지 지금부터 꼼꼼하게 살펴 드릴게요! ▶Q 1. 아동수당이란 무엇인가요? 아동수당은 아이를 키우는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만 6세 미만 (0~71개월) 아동들을 대상으로 정부에서 매월 10만 원을 지급하는 제도 인데요. 미국, 터키, 멕시코를 제외한 OECD 모든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제도로 아동의 기본적 권리와 복지를 증진하기 위해 탄생한 복지제도 입니다. ▶Q 2. 아동수당 선정 기준은? 아동수당은 신청 소득 인정액 하위 90% 이내(2인 이상 전체 가구 기준)의 0세부터 만 6세 미만(~71개월) 아동에게 지급됩니다. 즉, 2012년.. 2018. 7. 11. 더보기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내 퇴직금은 어떻게 될까? 7월 1일부터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되었습니다. 근무시간의 변화로 영향을 받는 것은 워라밸(Work Life Balance)만이 아닙니다.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직장인들의 퇴직금에도 변화가 생기는 것인데요. 기존 퇴직급여 제도와 비교해서 어떤 점이 달라지는지 함께 살펴볼까요? ▶주 52시간 근무제란? 주 최대 노동시간을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단축하고 특례 업종을 축소하도록 근로기준법이 개정되었습니다. 법정근로시간을 하루 8시간으로 책정, 주당 40시간 근무를 원칙으로 하되 연장근무를 한 주에 12시간씩 하도록 허용하여, 주 52시간 근무를 규정한 것이죠. 변경된 근로기준법 중 주 52시간 근무제는 기업 규모에 따라 단계적으로 적용되는데요. 7월 1일부터 300인 이상 사업장과 공공기관을 대.. 2018. 7. 10. 더보기
‘꿀 잠’이 돈이다, 슬리포노믹스란? 최근 직장인들이 점심시간을 이용해 가까운 ‘수면 카페’를 찾는 일이 늘고 있습니다. 휴식을 취하며 잠을 잘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신종 카페인데요. 주 52시간 근무 제도 도입으로 인해서 워라밸이 화두가 된 요즘, 하루의 1/3을 차지하는 잠은 또 하나의 산업이 되고 있습니다. 새롭게 등장한 슬리포노믹스, 함께 알아볼까요? 최근 직장이 많은 지역 거리에는 힐링, 수면 카페 등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돈을 주고 잠을 사’는 시대, 아직은 신기하게 느껴지는데요. 수면과 휴식을 원하는 직장인들의 상황을 짐작하게 합니다. 워라밸 문화의 정착과 함께 성장 가능성이 높아진 슬라포노믹스, 앞으로도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최근 직장인들이 점심시간을 이용해 가까운 ‘수면 카페’를 찾는 일이 늘고 있습니다. 휴식을 .. 2018. 7. 9. 더보기
남북 관계 개선에 따른 부동산 전망 및 리스크별 접근법 한국과 북한의 경협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증가하는 시점입니다. 이에, 접경 지역 토지 등 북한발 부동산 투자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데요.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4월 17일 김정은 북한 국무 위원장 간 남북 정상회담을 개최하며 한반도 평화와 번영과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을 끌어냈습니다. 6월 12에는 싱가포르에서 북한과 미국 간 정상회담 개최를 통해서 센토사 합의를 끌어냈고요. 북한의 비핵화와 체제 보장 약속에 합의하는 북・미간 화해 분위기가 이루어졌습니다. ▶한반도 신경제 지도에는 경제가 있다 남북한 회담의 판문점 선언에서는 2007년 2차 남북정상회담 당시의 10・4선언 합의했던 개성공단 2단계 개발 착수, 경제특구 건설 등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독일 베를린 선언에서 나온 ‘한.. 2018. 7. 6. 더보기
전세계의 고민인 고령화 사회, ‘치매’에 대비하려면? 미국 최고의 부자 락펠러 가문의 안주인이었던 블란쳇 락펠러, 뉴욕 현대미술관장이었으며 사교계의 여왕이었지만 그녀의 말년은 비참했습니다. 83세로 세상을 떠난 그녀의 병명은 바로 치매. 미국의 로날드 레이건 前 대통령, 영국의 마가렛 대처 수상, 영화 의 주인공 찰턴헤스턴, 찰스 브론스 모두가 치매로 고통받다가 생을 마감한 유명인인데요. 고령사회(aged society)에 진입한 우리나라도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 지난해 중앙치매센터「대한민국 치매 현황 2017」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중 치매 환자는 66만 명(9.8%), 2024년 100만 명(10.3%), 2041년 200만 명(12.3%)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12분에 1명, 노인 인구 10명 중 1명은 치매 환자인 셈입니다. .. 2018. 7. 5. 더보기
셈법 복잡해진 하반기 투자시장, 접근 전략은? 올해 1월 29일(월) 코스피는 2,598.19포인트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2,400선 아래로 밀리면서 연중 최저치로 떨어졌습니다. 코스닥도 연초에는 927.05포인트까지 올라 2002년 3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이후 800선으로 밀렸는데요. 연초까지 팽배했던 코스피 3,000에 대한 기대는 금융시장 불안에 대한 우려로 탈바꿈한듯합니다. 변수도 많고 불확실성도 커진 하반기에는 북미 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글로벌 무역전쟁, 미국 금리 상승, 신흥국 금융시장, 이탈리아 등 유럽 정치 상황 등을 주시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 국내 주가 반등 기대는 유효 지난해부터 올해 초까지 이어졌던 코스피 3,000에 대한 기대는 힘이 빠지는 분위기입니다. 글로벌 경제 성장과 국.. 2018. 6. 28. 더보기
돈 잔치 VS 경제활성화, 월드컵의 경제효과는? 러시아 월드컵이 시작되었습니다. 올림픽의 2배 가까이 되는 기간인 한 달 간, 축구라는 단일 종목으로 치러지는 세계 최대의 스포츠 대회죠. 그 규모가 큰 만큼, 매번 월드컵이 개최될 때마다 그 경제적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논의도 끊이지 않습니다. 경제의 눈으로 살펴보는 러시아 월드컵, 그 경제적 효과는 어떨까요? 전 세계 월드컵을 보는 시청자는 40억 명에 이르고, 32개 출전국 선수들의 몸값은 총 13조 원에 이른다고 합니다. 경제와 뗄 수 없는 월드컵, ‘머니 컵’이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2018년 러시아 월드컵, 태극전사가 선전하기를 기원합니다. 러시아 월드컵이 시작되었습니다. 올림픽의 2배 가까이 되는 기간인 한 달 간, 축구라는 단일 종목으로 치러지는 세계 최대의 스포츠 대회.. 2018. 6. 22. 더보기
꾸준히 성장하는 ‘셰어하우스’ 의 재테크 방법은? 1인 가구의 증가와 전세난으로 인해 주거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셰어하우스의 인기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국내 셰어하우스 객실 수는 4년 사이 약 6배가 증가했다고 하는데요. 셰어하우스로 인해 부동산 공유경제는 단순한 유행을 넘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셰어하우스란 정확하게 어떤 것이고 어떻게 재테크를 시작해야 하는 것일까요? 오늘은 셰어하우스와 재테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공유 주택, 셰어하우스란? 셰어하우스란, 집을 공유한다(share + house)는 뜻이 합성어입니다. 다수가 한 집에 살면서 침실 등 개인적인 공간은 따로 사용하고 거실, 화장실, 욕실 등을 다른 입주민들과 공유하는 주거 방식입니다. 셰어하우스는 1인 가구의 성장, 도심 월세의 폭등과 함.. 2018. 6. 15.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