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화생명

‘싼 게 비지떡’ 고정관념 깬다 - 가성비 최우선 노브랜드(No-brand) 시대 11월 1일부터 콜라의 가격이 5% 올랐다는 소식, 들으셨나요? 요즘 쇼핑을 나서면 비싸진 물가 때문에 얇아진 지갑을 피부로 느끼게 되는데요. 지난 31일 통계청이 내놓은 ‘9월 산업활동 동향’을 살펴보면, 계속되는 물가상승과 이에 따른 소비 감소의 수치가 2011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죠. 이처럼 경기 불황이 계속되면서 소비자들의 ‘쇼핑의 기준’도 달라지고 있습니다. 이름값보다 가성비를 따져 상품을 고르는 ‘가성비 최우선’ 시대가 찾아온 것입니다. 이에 발맞춰 도약하고 있는 스마트한 소비자를 위한 ‘노브랜드’ PB(Private Brand)상품과 경제 이야기, 함께 살펴보시죠. 5% 이상 상승된 가격 때문에 쉽게 장바구니에 콜라를 담기 망설이게 됩니다. 하지만 바로 옆자리에 브랜드 제품보다 .. 2016. 11. 7. 더보기
행복수명을 늘리는 노후 준비, 이제는 ‘셀프 시대’ 현재 우리는 이미 100세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100세 이상 고령자 수는 2005년 961명, 2010년 1,835명, 2015년 3,159명으로 최근 5년 동안 대략 72%나 증가했습니다. 특히 2015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657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3.2%, 내년이면 우리나라는 UN에서 정한 고령사회(65세 인구 비중 14%)로 진입할 예정입니다. 아프리카 속담 중에 ‘노인 한 사람이 죽으면 도서관 하나가 불타는 것과 같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노인들의 오랜 삶의 경험과 지혜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어르신들이 존경받아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대수명이 늘어난다고 해서 노년의 행복이 .. 2016. 11. 4. 더보기
생로병사를 다룬 영화들이 말하는 건강한 노후의 필요성! 모든 생명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나이가 들고 늙게 되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항상 젊음을 추구합니다. 생로병사(生老病死)의 의미처럼 태어나서 늙고 병들어 죽는 사람의 인생은 영화 속에서 자주 볼 수 있는데요. 특히 생(生) 과 노(老)는 누구에게나 피할 수 없는 중요한 이슈이기 때문에 많은 영화의 주요 소재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은퇴한 노인들의 작은 사랑 “그대를 사랑합니다”라는 영화에서도 이 생로가 가장 주요한 소재입니다. 은퇴한 노인들의 삶이 얼마나 초라하고, 힘든지를 영화는 매우 현실적으로 보여 주는데요. 전혀 준비되지 않은 노년기에 닥친 일상의 생활고, 그리고 병과 죽음은 우리들의 현재를 다시 바라보게 하고, 노년을 위해 뭔가 대비를 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합니다. 실제로 노인성.. 2016. 11. 3. 더보기
직장인들의 친구, 4대 보험이란? 4대보험은 국가보험이라고도 부르는데요. 정부가 관리하는 ‘의무가입 보험’이다 보니 많은 분들이 별다른 신경을 쓰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소득에서 보험료가 계속 지출되고 있는 만큼 내 돈이 어떻게 쓰이고 그 혜택은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있는 것이 좋겠죠? 장수시대, 노후 준비를 위해 ‘국민연금’은 꼭 필요하죠. 국민연금은 돈 없이 늙을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국가가 소득이 있는 국민을 대상으로 ‘의무적’으로 가입하도록 만든 보험입니다. 60세부터 평생동안 국민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적어도 10년(120개월) 이상 보험료를 납부해야 하는데요. 20년(240개월)동안 납부했을 때 받을 수 있는 금액을 기준으로 하여 그동안 납부한 기본연금액과 물가상승비용, 부양가족연금액, 이자비용 등을 합산하여 연금으로 .. 2016. 11. 2. 더보기
올 가을 첫 수확한 오곡백과가 63빌딩에 다 모이다! 직거래장터 바야흐로 ‘미식의 시대’입니다. 한 끼를 먹더라도 맛과 멋을 중요시하는 것이지요. 그래서 요즘에는 소비자와 생산자를 바로 연결해 신선한 음식을 유통하는 서비스가 인기입니다. 이런 트렌드에 힘입어 10월 20일 여의도 63빌딩에서 소비자와 생산자가 직접 만나는 소통의 장, 직거래 장터가 열렸습니다. ▶9년째 63빌딩을 찾은 청양군 아산리 주민들 서울의 랜드마크 63빌딩을 매년 찾는 분들이 있습니다. 바로 청양군 아산리 주민분들인데요. 칠갑산과 고추의 산지로 유명한 청양군의 아산리는 한화생명의 1사 1촌 자매결연 마을입니다. 한화생명은 2008년부터 이 마을과 자매결연을 맺고 9년째 직거래장터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설레는 마음으로 신선한 농산물을 준비한 아산리 주민들은 새벽부터 출발해 아침 7시 30분에 6.. 2016. 11. 1. 더보기
10월 경제 이슈를 한 곳에! 경제뉴스 월말 정리 한화 서울세계불꽃축제로 가을의 문을 활짝 열었던 10월. 부쩍 선선해진 날씨와 함께 벌써 마지막 주를 맞이했습니다. 이번 10월에는 가을 단풍만큼 각양각색의 경제 이슈들이 있었는데요. 10월에 만났던 경제뉴스 다시 한 번 만나볼까요? ▶10월 핵심 경제 뉴스 3가지 1. 2016 코리아 세일 페스타, 그 경제적 효과는? 10월에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었던 뉴스는 아무래도 국내 최초의 글로벌 관광 쇼핑 축제 였죠. 9월 29일부터 10월 3일까지 를 통해 백화점은 15.9%, 대형마트는 10.4%의 매출 증가를 달성했고, 전통시장도 평균 매출이 20% 이상 오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면세점 역시 유커들의 뜨거운 반응으로 306억 원 이상의 매출 상승을 보여주었죠. 10월 한화생명 경제뉴스에서는 이번 코리아세.. 2016. 10. 31. 더보기
공부에는 때가 없다! 공부하는 직장인 샐러던트 직장인이라면 "학창시절 더 열심히 공부했다면 좋았을텐데" 라며 공부에 대한 아쉬움을 삼켰던 경험 다들 있으실 텐데요. 공부에는 때가 있다던 어른들의 말씀처럼 과연 공부는 학생 때만 할 수 있는 걸까요?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평생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샐러던트’도 많아지고 있는데요. 학교를 졸업한 이후 직장생활과 공부를 모두 잡은 직장인을 뜻하는 신조어인 '샐러던트'(직장인을 의미하는 Salary+ 학생을 뜻하는 Student의 합성어). 하루 직장생활 외 출퇴근 시간이나 퇴근 후 시간을 활용해 영어공부와 직무강연을 듣는 샐러던트들! 과연 얼마나 많은 직장인들이 공부에 열정을 보이고 있을까요? 김민지 2016. 10. 28. 더보기
바쁜 일상 속 나를 키우는 휴식 템플스테이, 백담사를 가다 템플스테이란 한국불교의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산사에서 수행자의 일상을 경험하는 전통문화체험 프로그램입니다. 템플스테이(templestay)는 2002년 한∙일 월드컵을 기점으로 한국의 전통불교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시작됐습니다.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상설화됨과 동시에 한국의 대표 관광 상품으로 자리 잡기도 했습니다. 저는 오래전부터 등산, 골프, 헬스, 승마 등의 다양한 운동을 하고 건강식품을 꾸준히 먹으며 육체적 건강을 위한 노력은 열심이었지만 마음공부는 그에 미치지 못한다고 느끼고 있었습니다. 이에 정신수양의 필요성을 느끼고 휴가 때 템플스테이를 실행에 옮겨 보았습니다. 백담사의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은 생각했던 것보다 매우 다양했습니다. 불교문화체험형(참회 명상, 다도, 운력), 생태체험형.. 2016. 10. 27.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