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태양광설비로 여름철 전기 절약하세요! 며칠 전, 전기세 고지서를 보면서 저도 모르게 한숨이 나왔는데요.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하면 냉방비로 전기세가 더 나올 것을 생각하니 벌써부터 걱정이 앞섭니다. 하지만 이런 걱정을 덜어줄 희소식이 있답니다! 바로 ‘태양광설비’인데요. 상업용 전기가 아닌, 일반 가정에도 태양광설비를 설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바야흐로 전기를 직접 생산해 쓰는 시대가 열린 걸까요? 한 푼이라도 아껴야 잘 사는 요즘, 태양광설비로 전기세 아끼는 법과 함께 생활에 도움이 되는 경제 이슈를 모아봤습니다~ ▶ 태양광설비 빌려 쓰고 전기세 아끼세요 여름철 전기세 폭탄이 두렵다면, 태양광설비를 신청해보세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올해 ‘주택용 태양광 대여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는데요. 월 최대 7만원의 대여료로 단독주택에서 태양광 에너지.. 2014. 6. 3. 더보기
환율 세자리수 시대 올까? 환율 하락 원인과 전망은? 국가 간 무역 등 경제상의 거래에 중요한 환율. 특히 한국의 경제상황은 환율을 빼놓고는 이야기 할 수 없는데요. 최근의 환율상황은 어떨까요? 요즘 원/달러 환율은 2008년 이후 처음으로 달러당 1,020원대까지 하락했습니다. 때문에 달러당 1,000원도 깨지고 세자리 수 환율 시대가 다시 올지 모른다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죠. 과거로 거슬러올라가 환율상황의 변화를 짚어볼까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원/달러 환율은 1,600원 가까이 급등했었는데요. 이후 2010년부터 불안이 완화되면서 달러당 1,050원에서 1,200원 사이에서 등락을 반복해왔습니다. 이처럼 일정한 폭에서 등락을 거듭하는 것을 가리켜 ‘박스권’이라고 하는데요. 2011년 8월 이후에는 달러당 1,050원이 박스권 하단으로 인식.. 2014. 5. 27. 더보기
돌싱 세테크! 이혼하면서 세금 줄이는 방법 요즘 ‘돌싱’이라는 말을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텐데요. 어느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이혼율이 아시아 국가 중에서 최고수준이라고 합니다. 사랑으로 시작된 결혼생활이었지만 파탄에 이르러 헤어지게 될 때는, 항상 뜨거운 감자가 되는 문제들이 있습니다. 바로 위자료나 재산분할 및 양육비 문제가 그런 경우인데요. 특히 이 중 위자료나 재산분할에는 세금문제가 생길 수 있어 더더욱 신중하게 처리해야 합니다. ▶등기원인! 위자료 VS 재산분할 이혼할 때 재산분할과 위자료에 대해서는 부과되는 세금이 다릅니다. 재산분할 과정에서 순수한 재산분할인지 위자료 성격인지 잘 파악해야 하지요. 특히 부동산을 나누어 가질때가 문제인데요. 부동산이 재산분할로 인한 이전이라면 내 몫의 부동산 지분을 찾아오는 것이라서 양도로 보지 않지만.. 2014. 5. 23. 더보기
야근에 지친 직장인, 모두 모여라! “오늘 칼퇴 하겠습니다” 최근 한 취업포털에서 조사한 결과, 평소 직장인들이 가장 하기 힘든 말 1위를 차지한 답변인데요. 누구보다 바쁘게 일하는 한국 직장인들의 애환을 느낄 수 있습니다. ‘도시의 야경은 야근하는 사람들이 만든다’는 이야기를 들어보셨나요? 야근하는 직장인들은 밤늦게까지 사무실에 불을 켜고 일을 하는데, 이를 멀리서 보면 또 도시의 아름다운 야경이 되는 것이지요. 야근이 만들어낸 야경이라...왠지 애달픈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야근하는 직장인들, 우리들의 건강한 몸과 마음을 위해 몇 가지 사항들에 대해 함께 살펴 보시죠~! ▶대한민국 ‘야근족’들의 마음 다른 나라 직장인들의 상황은 어떨까요? 우선 대표적으로 독일과 한국을 비교해보면 한국인이 독일인보다 평균 하루 3시간 이상 더 일을 한다.. 2014. 5. 22. 더보기
환율 하락! 한국 경제가 위태롭다 환율 하락은 '양날의 칼'로 불립니다. 국가 경제의 두 축인 ‘수출’과 ‘내수’ 가운데 수출에는 악재지만, 수입물가를 낮춰 내수에는 호재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 원리를 간단히 살펴볼까요? 원화의 달러당 환율이 1000원 일 때 수출하던 국내 기업은 1달러어치의 수출 대금을 환전하면 1000원을 얻습니다. 하지만 환율이 900원으로 내려가면 1달러를 환전했을 때 900원 밖에 얻지 못하죠. 반면 수입을 하는 국내 기업은 1000원에 수입하던 물건을 900원에 수입해 올 수 있으니 이익이 됩니다. 최근에 환율이 급격히 하락해 한국 경제가 긴장상태에 있습니다. 환율 하락 소식과 함께 최근 경제이슈를 살펴보겠습니다. ▶ 환율 하락세, 계속될까? 최근 환율이 달러당 1,024.4원을 기록했습니다. 환율이 .. 2014. 5. 21. 더보기
내 집 마련의 꿈, 아파트 경매 절차와 투자전략은? "경매로 저렴하게 집을 마련했다고요?" 중소기업에 다니는 직장인 천송이 씨(37세 가명). 직장동료 도민준 과장이 경매로 저렴하게 집을 샀다는 이야기를 듣고 귀가 쫑긋해 졌는데요. 천송이 씨의 꿈이 바로 내 집 마련이었기 때문입니다. 동료 이야기를 들으니 경매에 부쩍 관심이 생겼습니다. 혼자 경매공부에 돌입한 천송이 씨. 아파트 경매란 무엇인지 또 어떤 전략이 필요한지 같이 살펴볼까요? ▶아파트 경매의 첫걸음, 경매절차 파악 아파트 경매 혹은 아파트 법원경매란 돈을 빌려간 사람이 약속한 날짜까지 빌려간 돈을 갚지 못할 경우, 채권자가 법원에 의뢰를 통해 아파트를 경매하고, 채권자 대신 돈을 받아주는 것입니다. 아파트를 싸게 사고 싶은 천송이 씨. 도민준 씨의 조언에 따라 입찰장부터 방문했습니다. 마침 경.. 2014. 5. 19. 더보기
글로벌 기업을 뒤흔드는 설탕의 유해성 논란 우리가 마시는 음료에는 대부분 설탕이 들어갑니다. 힘이 없을 때 설탕이 들어간 달콤한 커피나 주스를 마시면 기분이 금새 좋아지고 힘이 생기죠. 설탕은 식품뿐 아니라 전기도금, 제지, 잉크, 염료, 직물, 목탄, 보일러, 타이어수선, 구두왁스 등의 산업 분야에도 쓰이고 있습니다. 다양한 방면에서 도움이 되는 설탕. 하지만 설탕을 너무 많이 섭취하면 비만이 되기 쉽습니다. 게다가 고지혈증, 골다공증, 성인병에 걸릴 수 있죠. 그래서 소비자는 설탕이 없거나 적은 식품을 찾고 기업들도 그에 맞춰 무설탕 식품을 개발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이 같은 일 때문에 설탕을 쓰는 기업들이 곤란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어떻게 된 일까요? 최근 경제이슈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설탕과의 전쟁 코카콜라, 네슬레 등 글로벌 식.. 2014. 5. 16. 더보기
답답한 코스피, 시장을 이기는 가치투자 따라잡기 요즘 주식시장은 조심조심 걸어가는 거북이와 같은 모양새입니다. 올 들어서도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보폭을 좁게 가져가고 있죠. 코스피는 지난 2011년 5월 초에 2238 포인트로 사상 최고치(종가기준)를 기록한 이후로는 2000 선을 좀처럼 지켜내지 못하고 있는데요. 코스피는 3년 가까이 주로 1750~2050 포인트 사이에 머물고 있지요. 이처럼 주가가 일정한 주가 수준 아래로는 더 떨어지지 않고, 또 일정한 수준 위로는 더 오르지도 않는 시장 상황을 ‘박스권 장세’라고 하는데요. 그러다 보니 박스권에 갇혀 있는 코스피라 해서 '박스피'라 부르는 현상도 야기되고 있답니다. ▶부진한 주가지수에도 불구하고, 선전하는 개별종목 코스피가 약 3년 전에 비해 200 포인트 정도 낮기 때문에 주가지수만 놓고 보면 .. 2014. 5. 15.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