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고령화 시대, 장수리스크를 극복하는 종신연금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는 나라, 바로 대한민국입니다. 우리나라 평균수명은 2012년에 남자 77.9년, 여자는 84.6년으로 10년 전보다 각각 4.6년, 4.2년이 늘어났는데요. 이런 빠른 고령화로 인해 많은 분들이 장수리스크’(longevity risk)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장수리스크’는 준비된 은퇴자산보다 더 오래 살 위험을 뜻하는 것으로, 은퇴 후에 확보할 수 있는 소득이나 자산으로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워질 때까지 생존할 위험을 말합니다. 때문에 이런 고령화 사회에서, 은퇴 후 연금수급자와 부양가족에게 안정적인 소득을 제공하는 연금제도는 중요할 수 밖에 없습니다. ▶장수리스크는 모두에게 위험 요소! 연도별 생명표를 살펴보면 의료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기대수명은 점차 길어지고 사망률.. 2014. 5. 14. 더보기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 부채관리 노하우는? "국민소득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요? 글쎄요..." 우리나라의 작년 1인당 소득, 얼마인지 알고 계신가요?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에 이미 26,000 달러를 넘어섰고 2016년이면 소득 3만 달러 시대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개인차는 있겠지만, ‘3만 달러 시대’가 정확하게 와 닿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 같아요. 이런 장밋빛 미래가 실감이 나지 않는 이유가 뭘까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내 손에 남는 ‘가용소득’이 그다지 커지지 않기 때문이 아닐까요? 그렇다면 이젠 소득뿐 아니라 부채도 짚어 보아야 할 때입니다! ▶부채관리는 왜, 얼만큼 중요한가? 통계청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우리나라 가구당 평균 부채는 5,818만원으로, 68%의 금융부채와 32%의 임대보증금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해요. 문.. 2014. 5. 13. 더보기
동화 '벌거벗은 임금님'이 말하는 채권시장 1800년대에 발표된 동화 ‘벌거벗은 임금님’ 기억하시나요? 전세계 100개가 넘는 언어로 번역되어 소개될 만큼 유명한 동화인데요. 이 이야기는 최고의 옷만 찾는 허영심 많은 한 임금의 이야기를 통해 사회의 무지와 잘못된 통념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습니다. 우연인지, 필연인지 이 200년 전의 이야기는 오늘날 금융시장의 모습을 말해주고 있는데요, 함께 살펴보실까요? ▶ 잘못된 정보가 임금님의 옷을 벗기다 한 나라에 허영심 많은 임금이 있었습니다. 특히나 옷에 허영심이 많았죠. 이 임금이 얼마나 남다른 옷을 원했는지 모든 신하들이 비위 맞추기가 어려웠다고 합니다. 그래서 모든 재봉사들이 나서길 꺼려했는데 어느 날 한 재봉사가 세상에 둘도 없는 옷을 만들어주겠다고 나섰습니다. 이 옷은 아주 특별한 옷으로, .. 2014. 5. 12. 더보기
신종 금융사기의 종류와 그 예방법 Best 4 최근 “고객님~당황하셨어요?” 라는 유행어가 인기였죠? KBS 개그콘서트에서 ‘보이스피싱’을 소재로 사용하면서 생겨난 유행어였는데요. 보이스피싱이 개그 소재가 될만큼 금융사기는 우리 일상에 널리 퍼져있는 상황입니다. 최근 금융감독원의 발표에 따르면 2012년 9월 이후부터 지난해 말까지, 피싱 금융사기로 인해 생긴 피해액은 총 2084억원에 이른다고 합니다. 1인당 평균 피해액으로 따져보면 876만원으로 적지 않은 금액입니다. 이렇듯 많은 피해자와 피해액을 양산한 금융사기. 어떤 수법들이 있을까요? 가장 많은 유형은 60.6%를 차지한 보이스피싱이었으며 피싱‧파밍 등이 39.4%의 비율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러한 금융사기의 유형들은 날로 다양해지고 있는데요. 최근에는 금융회사나 검찰, 경찰 같은 공공.. 2014. 5. 9. 더보기
조선 최고의 재벌 ‘임상옥’에게 배우는 투자의 지혜 ‘임상옥’이라는 인물을 아시나요? 임상옥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상인 중 한 명으로 한 때 조선 최고의 재벌이기도 했습니다. 작가 최인호의 소설 '상도'를 원작으로 재구성한 '상도'라는 MBC 드라마(2001년)에서는 임상옥의 일대기를 다뤄 큰 인기를 끌기도 했었죠. 임상옥은 정조 3년인 1779년에 의주에 자리를 잡고 중국으로 가는 사신들을 따라 다니며 보따리 장사를 하던 만상 임봉핵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평안북도 의주를 근거지로 삼아 중국과 교역을 주도하던 ‘만상’은 황해도 개성을 중심으로 성장한 ‘송상’과 함께 조선시대의 대표적 상인집단으로 꼽힙니다. 오늘로 치면 국제무역을 한 것인데요. 이들은 철저히 신용을 바탕으로 장사를 했을 뿐 아니라 현대인들도 놀랄 만한 경영철학을 확립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죠.. 2014. 5. 7. 더보기
지폐 속에 숨겨진 맛있는 역사 이야기 우리가 평소에 흔하게 쓰는 지폐. 지폐는 물건이나 금융 거래를 위해 사용되지만, 사실 알고 보면 다양한 역사 속 사건과 에피소드가 숨어 있습니다. 조금 과장해서 말하자면, 지폐만 가지고도 세계사 수업을 할 수 있을 정도랍니다. 지폐 속에 숨겨진 재미난 사실과 에피소드. 맛보기로 몇 가지 소개해드릴게요. ▶ 이 세상엔 100조짜리 지폐도 있었습니다 지금까지 발행된 화폐 중에서 가장 금액이 큰 화폐는 1923는 독일에서 발행된 100조 마르크 지폐입니다. 100조(100,000,000,000,000)라고 하면 피부에 와 닿지도 않는 엄청난 금액입니다. 조 단위라고 해서 굉장히 큰 금액 같겠지만 사실 이 당시의 100조 마르크는 100달러 정도의 가치 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이 무렵 빵 한 조각은 800억 마.. 2014. 4. 30. 더보기
아파트 층간소음 해결이 쉬워집니다 아파트에 사시는 분들이라면 윗집 아이들이 뛰어 다니는 소리를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어쩌다 한 두 번은 귀엽게 봐줄 수 있지만 매일 같이 계속되면 그 때는 아이들의 장난도 소음이 되어 버립니다. 직접 찾아 올라가 항의를 해보고, 아파트 입주민 대표에게 건의를 한다고 해도 잠깐일 뿐, 다시 소음이 들리기 시작하죠. 윗집 아이들이 뛰어 다니는 소리, 옆집에서 크게 틀어놓은 TV소리 등 이런 아파트 층간소음은 아파트 입주민에게는 만성 골치거리인데요. 이 골치거리를 해결할 법적 기준이 생긴다고 합니다. 아파트 층간소음의 기준과 함께, 최근 경제이슈를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아파트 층간소음의 기준이 생깁니다 자체적으로 해결이 쉽지 않았던 층간소음. 이제는 층간소음 분쟁을 법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준이 생깁니.. 2014. 4. 29. 더보기
확 바뀌는 주택임대소득 세법 절세전략 Best 3 앞으로 주택임대소득 세법이 달라질 예정입니다. 지난 3월 5일,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제10차 경제장관회의 논의를 통해 주택임대차 선진화 방안 보완조치를 확정해 발표했습니다. 주택경기침체 등의 사유로 적극적으로 과세하지 않았던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세원관리를 앞으로는 강화한다는 것인데요. 쉽게 말해서,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세금을 더욱 철저히 걷겠다는 의미입니다. 누가 세금을 덜 냈는지를 확인하려면 데이터가 필요하겠죠? 그래서 정부는 임차인의 월세 소득공제 자료 및 지방자치단체로부터 확정일자 데이터를 제공받아, 신고를 누락한 임대소득의 과세 활용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주택임대소득 세법이 더욱 철저해집니다 주택임대소득 세법이 이번 개정안에 따라 달라지면 임대사업자들은 평소보다 더 .. 2014. 4. 25.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