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슬비

소액체당금, 퇴직한 노동자의 생계 보장을 위한 최소한의 안전망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생각하는 ‘퇴사’. 직장을 그만둔 퇴직자는 ‘퇴직금’이라는 것을 받습니다. 하지만, 이런 퇴직금을 받지 못한 채 퇴사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데요. 개인이 회사를 상대로 밀린 임금이나 퇴직금을 받아내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죠. 이런 경우, 국가가 나서서 퇴직자가 받지 못한 임금이나 퇴직금의 일정 부분을 국가가 대신 지급해주는 제도를 이용하면 되는데요. 이 제도는 무엇일까요? ▶ 퇴직자의 소중한 퇴직금을 지켜주는 소액체당금 제도 노동자는 사업자가 임금이나 퇴직금을 제때 지급하지 않을 경우, 노동청에 임금체불을 신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형사책임과는 별개로 회사의 부도, 도산, 경영 곤란 등의 이유로 임금을 받지 못할 경우 노동자는 ‘체당금 제도’를 통해 밀린 임금을 국가에서 먼.. 2019. 8. 20. 더보기
면세 한도는 600달러, 구매 한도는 3,000달러? 알쏭달쏭 면세 규정 알아보기 본격 휴가철을 맞아 해외로 여행을 떠나는 분들이 많죠. 특히, 해외여행을 가야만 할 수 있는 면세점 쇼핑이 마음을 더욱 설레게 합니다. 국내에서 구매하는 것보다 적게는 20%, 많게는 적립금 포인트까지 모아서 50% 이상 저렴한 가격에 물건을 구매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덮어놓고 사다 보면 예상치 못한 세금 폭탄을 맞을 수 있습니다. 해외여행을 준비하는 여러분이 마음 편히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오늘은 우리나라의 면세상식을 알려드릴게요! ▶여행자가 꼭 알아 둬야 할 면세 상식 외국에서 국내로 물건이 들어올 때 ‘관세법’에 의해 ‘관세’라는 세금을 부과하게 됩니다. 이때, 개인 여행자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일정 부부의 세금을 감면해주는 것을 ‘면세’라고 하는데요. 그 때문에 여행 일정 중에 면세.. 2019. 8. 12. 더보기
휴가철 전염병과 예방법 알아보고, 여행자 보험으로 휴가철 불상사 막아보자 여름이 절정으로 치닫으면서 더위를 피해 휴가를 가는 분들이 많아졌죠. 8월, 휴가철을 맞아 많은 사람이 해외여행을 가는 요즘, 즐거운 여행을 위해서라면 꼭 기억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바로 해외에서 옮아올 수 있는 다양한 질병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해외여행 시 주의해야 할 질병과 그에 대한 예방법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 질병을 옮기는 매개체, 모기 여름에는 우리나라나 해외나 항상 조심해야 할 벌레가 있습니다. 바로, ‘모기’입니다. 모기는 인간에게 옮길 수 있는 여러 질병을 부르는 매개체인데요. 모기는 인간을 물기 전 감염된 동물의 피를 빨다가 질병을 얻은 채로 인간에게 옮기게 됩니다. 모기는 매우 다양한 질병을 옮기는데, 모기가 매개체가 되는 질병은 무엇이 있을까요? 첫 번째로 ‘지카 바이러스’입.. 2019. 8. 9. 더보기
[보험 Talk, 보톡스] 혹시 나도 있을까? 보험 가입 조회 서비스로 잊어버린 보험금 찾기 갑자기 큰 병에 걸리거나 사고를 당했을 때면 큰돈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그 상황을 대비해 사람들은 ‘보험’을 들어 놓는 경우가 많죠. 보험금을 낼 때는 왠지 아까운 생각도 들지만 사고가 닥쳤을 때는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이 바로 보험입니다. 우리나라는 가구당 평균 12개의 보험에 가입하고 있고, 가구당 매달 103만 원을 보험료로 납입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 보험계약자들이 찾아가지 않은 보험금이 무려 9조 8,000억 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그중에 내가 찾지 않은 보험금도 있지 않을까요? ▶ 나도 모르는 나의 숨은 보험금 질병이나 사고의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필요한 보험. 우리가 받을 수 있는 보험금은 중도보험금, 만기 보험금, 휴먼보.. 2019. 7. 31. 더보기
[인포그래픽] 빅데이터를 통해 본 50·60세대의 생활과 고민 청년실업과 주거비 상승, 늦은 결혼, 맞벌이 가정 증가 등 성인 자녀를 돌보는 50·60세대 부모의 부담이 날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인구 약 14%가 65세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초고령사회에 접어들고 있는 지금, 한화생명 빅데이터 팀에서 우리 사회의 주요 연령층인 50·60세대의 라이프 트렌드와 금융 스타일을 2천만 개의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 보았는데요. 성인 자녀도 돌보고, 스스로 노후 준비를 해야 하는 50·60세대의 생활과 고민에 대해 함께 알아볼까요? 50·60세대는 성인 자녀의 돌봄, 부모 부양, 은퇴 준비까지 스스로 해야 하는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었습니다. 한화생명이 SNS에서 연령별로 게시물을 분석한 결과, 전체 게시글 가운데 ‘가족’이 주제인 게시물은 50·60세대가 18.6%.. 2019. 7. 26. 더보기
[11시 콘서트 초대 이벤트] 클래식 음악으로 떠나는 여행, 8월 11시 콘서트 태양 빛이 뜨거워진 7월, 빨리 휴가를 떠나고 싶은 마음이 드는 날입니다. 여름 휴가까지 멀었지만 7월의 11시 콘서트에서는 음악으로 여름 휴가를 즐길 수 있었습니다. 7월보다 더욱더 무더워지는 8월에는 어떤 곡들이 여러분의 마음을 어루만져줄까요? ▶ 음악으로 즐긴 여름 휴가, 7월 11시 콘서트 올해의 일곱 번째 11시 콘서트는 모차르트의 오페라 곡으로 막을 올렸습니다. 모차르트의 은 모차르트가 빈으로 이주한 뒤 처음으로 발표한 오페라 곡인데요. 오페라의 내용은 터키 태수의 후궁으로 팔려 간 콘스탄체와 그녀를 구출하기 위해 후궁으로 찾아간 연인 벨몬테의 이야기입니다. 벨몬테는 하인 페드릴로의 도움으로 콘스탄체와 재회하는 데 성공하지만, 두 사람은 야음을 틈타 하인들과 후궁을 탈출하려다 궁지기인 오스민에.. 2019. 7. 17. 더보기
해외 IT기업이라도 세금은 내야 한다. 첫발 내디딘 ‘한국판 구글세’ 요즘은 유튜브, 페이스북, 구글, 에어비앤비, 넷플릭스 등 해외 IT기업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죠. 해외 IT기업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다 보니 이 기업들의 매출 또한 높아졌는데요. 하지만, 이들이 우리나라에서 거둬들인 수익에 대한 세금을 내고 있지 않았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수익을 내는 기업이라면 마땅히 내야 할 세금, 부가가치세 재화의 생산과 유통을 거치는 과정에서 상품에 부가하는 가치에 대해 정부가 부과하는 조세를 ‘부가가치세’라고 합니다. 물품이나 용역이 생산, 제공, 유통되는 모든 단계에서 기업이 얻는 수익에 대해서만 과세하는 세금인데요. 우리나라의 경우, 최종 재화 가격의 10%를 부가가치세로 납부해야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수익을 내는 기업이라면 납세의무가 있는데.. 2019. 7. 15. 더보기
[세금흥신소] 재산이 없어도 알아두면 좋은 7월의 대표 세금 재산세, 절세 팁까지 알아보자 2019년도 어느새 반이 지나가고 7월이 되었습니다. 7월엔 잊어서는 안 될 중요한 세금이 있습니다. 바로 ‘재산세’인데요. 재산세는 말 그대로 ‘재산’에 대하여 부과하는 조세를 말합니다. 재산세는 국세청에서 부과하는 세금이 아니라, 구청이 세수를 확보하기 위해 떼는 세금이므로 지방세로 분류됩니다. 그렇다면, 재산세는 누가, 어떻게 내고 재산세를 아낄 방법은 무엇일까요? ▶ 재산이 없어도 재산세를 내야 하나요? 지방세법에 따르면 재산세는 ‘토지, 주택, 건축물, 항공기 및 선박을 소유한 자에게 과세하는 지방세’를 의미합니다. 재산의 보유 기간과 관계없이 재산세를 부과하는 기준일인 6월 1일에 사실상 재산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에게 납부 의무가 주어지는데요. 예를 들어, 주택을 산 후 5월 30일에 등기가 .. 2019. 7. 8.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