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크리스마스 선물과 경제효과 “1달러 87센트, 이것이 그녀가 가진 돈 전부이다.” 작가 오 헨리의 대표적인 단편소설 ‘크리스마스 선물’의 첫머리입니다. 소설은 19세기 뉴욕의 가난한 부부가 서로를 위해 크리스마스 선물을 준비하는 가슴 찡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데요. 전 세계인의 축제인 크리스마스가 다가오면서, 이 소설 속 주인공인 짐과 델리처럼, 사랑하는 사람을 위한 선물을 고민하는 분들이 많을 거예요. 어린이들은 산타 할아버지의 방문을, 연인들은 낭만적인 데이트를 계획하게 되는 크리스마스. 이처럼 가까운 이들과 마음을 나누며 ‘선물’을 주고받는 풍습 때문에 경제적인 파급 효과 또한 어마어마한데요. 성탄을 위한 달콤한 계획을 세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경제적 의미도 그냥 지나쳐서는 안 되겠죠? 크리스마스가 전 세계 경제에 미치는.. 2014. 12. 24. 더보기
국민연금 이것이 궁금하다! 10문 10답 최근 공무원연금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이 높습니다. 어떤 정책이 옳은지를 떠나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노후소득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데요. 한편으로는 긍정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지만 또 다른 측면은 부족한 노후소득으로 긴 노년생활을 대비해야 하는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주기도 하죠. 우리나라는 다층소득보장체계를 가지고 있으나 노후소득과 관련해서 이해가 부족한 편입니다. 특히 매월 급여에서 일정부분의 보험료를 부담하고 있는 국민연금의 경우는 더욱 그렇고요.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국민연금에 대한 평소 궁금한 대표적인 10가지 질문사항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그럼,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국민연금에 관한 궁금증과 정확한 정답을 알아볼까요? Q1. 국민연금도 세금을 내야 하나요? 노령연금.. 2014. 12. 19. 더보기
장모님을 위한 투자상품, 장모님 펀드란? 뉴스에서 보는 저금리, 금리하락 소식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닙니다.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를 필두로 국채 금리와 예금 금리 등 다양한 금리는 사상 최저 수준을 나타내고 있고요. 현재로서는 금리가 추가로 하락하기는 어려울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지난 2년여 동안에도 더 이상 떨어질 수 없을 것 같던 금리는 계속 하락해 왔던 게 사실이죠. 올 11월 말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자료를 보면, 2014년 10월 말 예금 은행의 잔액기준 총수신 금리는 1.97%로 집계됐는데요. 즉 은행에 맡겨진 돈에 대한 평균 이자가 1% 대로 떨어졌다는 얘기로, 1% 대 금리는 사상 처음이랍니다. ▶은행 예금에 대한 대안 상품의 수요 증가 금리가 이렇다 보니 재테크에 관해서는 저축밖에 몰랐던 지극히 보수적.. 2014. 12. 18. 더보기
세무사 전격 인터뷰, 연말 환급금 얼마나 줄어들까? 직장인들의 연말정산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과거 ‘13월의 월급’이라는 애칭으로 쏠쏠했던 연말정산 환급금은 이제는 ‘13월의 추징’을 당하지 않으면 다행일 수 있다는 우스갯소리까지 들리고 있는데요. 그 이유는 연말정산 관련 세법이 대폭 개정되었기 때문입니다. 한화생명 블로그에서는 FA센터의 정원준 세무사와 함께 연말정산에 관련된 인터뷰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그럼, 정원준 세무사와 함께 연말정산에 대해 알아볼까요? ※ 한화생명 FA센터란? 은행의 PB센터와 유사하지만, 고객의 재무설계 및 컨설팅을 해주는 한화생명이 자랑하는 VIP센터 입니다. Q. 막상 연말정산 시뮬레이션을 해본 직장인들은 허탈해 하는데요. 이유는 무엇일까요? 네, 사실 많은 근로자들이 연말정산 개정안 발표되었을 때 막연히 그냥 ‘연말정산 .. 2014. 12. 15. 더보기
허니버터칩으로 커진 감자칩 시장 2014년의 마지막 12월도 어느덧 중순을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 2014년 보내고 다가오는 2015년을 준비하면서 내년 경제 예측 기사도 챙겨보게 되는데요. 저성장에 발목 잡혔던 2014년과 같이 2015년도 경제 상황은 밝지 않은 듯 합니다. 난제(難題)일수록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듯, 밝지만은 않은 2015년 경제상황도 제대로 알아봐야겠죠? ▶ 허니버터칩으로 커진 감자칩 시장 2014년 하반기는 새로 출시한 과자 대한민국 과자시장의 판도를 뒤바꾸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바로 H사가 출시한 ‘허니버터칩’인데요. 물건을 올려놓기가 무섭게 팔려나가는 이 과자로 마트와 편의점에서는 ‘품절’ 공지까지 내거는 해프닝이 벌어지고 있죠. 기존의 감자칩이 짭짤한 맛이 대부분이었다면, 허니버터칩은.. 2014. 12. 12. 더보기
노후준비, 남성보다 여성이 더 필요한 이유는? 보험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층 빈곤율은 45.1%로 OECD 국가들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중에서 여성 노인의 빈곤은 남성에 비해서도 훨씬 더 심각한 상황이죠. 여성 노인의 빈곤율은 47.2%로, 남성 노인의 빈곤율 41.8%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남편이나 자녀를 통해 노후를 보장 받았지만, 부모 부양에 대한 인식이 점차 달라지면서 자녀와 동거하는 노인은 줄어들고, 독거노인 가구는 늘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남성보다 여성의 평균수명이 더 길다는 점을 감안하면, 여성 노인이 홀로 지내야 하는 시간은 생각보다 길어질 수 있고요. 2013년 고령자통계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자를 대상으로 부모 부양에 대한 견해를 조사한 결과, “가족이 돌보아.. 2014. 12. 10. 더보기
공급량 그대로인데 담배부족현상, ‘담테크’ 때문? ‘다람쥐 족’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이곳저곳 다니면서 다람쥐가 도토리 모으듯 담배를 사들이는 풍조를 가리킨 말인데요. 이러한 현상은 지난 2일, 담뱃값 인상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생겼습니다. 2015년 새해부터 담뱃값 인상이 확실해지자 소비자들이 인상 시점을 대비해서 담배를 미리 사재기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공급량과 상관없이 이어지는 담배 품귀 현상, 그 원인과 함께 한 주간의 경제 이슈를 살펴보겠습니다. ▶ 공급량 그대로인데 담배부족현상, '담테크' 때문? 10년 동안 제자리를 지켰던 담뱃값이 2015년 1월 1일부터 껑충 뛰어오르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소비자들이 담배를 사지 못해 불만을 제기하고 있는데요. 사겠다는 사람은 많은데 팔겠다는 사람은 없는 담배품귀현상, 어째서 일어나는 것일.. 2014. 12. 8. 더보기
2015년 재테크 첫걸음, 가계부의 달인 되려면? 2015년을 한 달 앞둔 지금, 미리 새해 계획을 세우고 있는 분들이 많습니다. 다이어트, 금연, 결혼 등 매년 새롭게 다짐하는 각오들 가운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무래도 재테크가 아닐까요? 경기침체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재테크의 핵심은 바로 절약! 최근 한 취업포털 사이트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지출을 관리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꼽힌 것이 바로 “가계부 작성”이었는데요. 하지만 재테크의 기본이라는 가계부 쓰기, 결코 쉬운 일은 아닙니다. 연초에 야심 차게 가계부 쓰기를 시작했다가 작심삼일이 되는 경우가 많죠. 효율적인 가계부 작성 방법을 살펴보고, 2015년에는 티끌 모아 태산~만들어볼까요? ▶가계부 작성의 핵심 노하우 BEST 5 1. 예산 세우고 고정지출 점검해야 진정한 가계부~ 가계부의 .. 2014. 12. 5.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