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투자 기상도로 살펴본 2017년 재테크 방법은? 일반적으로 연말 연초는 활발한 소비가 이뤄지는 쇼핑시즌입니다. 특히 미국에서는 추수감사절부터 크리스마스, 그리고 새해에 이르기까지의 쇼핑시즌에 한 해 매출 가운데 3분의 1 이상이 집중된다고 합니다. ▶국내 정세 혼란으로 신년 분위기 실종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신년 분위기를 느끼기가 어렵습니다. 국정혼란으로 인해 소비 심리가 잔뜩 움츠러들었기 때문입니다. 이에 청탁금지법 시행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까지 더해져 소비심리는 최악으로 얼어붙은 듯 합니다. 이는 지난 12월 한국은행이 발표한 소비자심리지수에 반영되어 있는데요. 12월 소비자심리지수는 94.2로, 금융위기의 여파로 최저치를 기록했던 2009년 4월과 같은 수치입니다. ▶트럼프 경제정책이 투자시장에 불러올 영향 트럼프의 인프라 투자 확충 계.. 2017. 1. 3. 더보기
2017년 유행에 밀리지 않으려면 주목! 직장인 트렌드 키워드! 다사다난했던 2016년이 지나고, 드디어 2017년 정유년(丁酉年)이 찾아왔습니다. 2017년의 상징인 붉은 닭은 액운을 쫓고 희망을 가져다 주는 존재로 알려져 있죠. 또, 누구보다 먼저 아침을 알리는 근면한 동물이기도 한데요. 붉은 닭처럼 한걸음 먼저 새해 핵심 키워드를 체크해보면 어떨까요? 2017년, 트렌드 전문가가 뽑은 우리 사회 핵심 트렌드 키워드를 한화 생명과 함께 살펴보시죠. 2017년 핵심 키워드는 우리 사회의 모습을 대변하고 있습니다. 1인 인구의 증가와 경제 저성장, 불확실성 등 사회 전반의 흐름이 기술의 발전, 소비생활, 라이프 스타일까지 급속도로 바꾸고 있는 것이죠. 과연 미리 살펴본 올해 트렌드 키워드가 그대로 맞아떨어질지, 또 다른 어떤 트렌드들이 생겨날지 궁금해지는데요. 201.. 2017. 1. 2. 더보기
경제키워드로 돌아본 2016년 트렌드 올해 여러분이 기억하는 경제 핫키워드는 무엇이었나요? 바쁘게 달려온 2016년, 어느덧 그 마지막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방송국마다 한 해를 돌아보는 시상식이 한창인데요. 한화 생명 경제뉴스도 2016년 경제 키워드 연말 결산을 준비해봤습니다. 어느 때보다 격동적이었던 세계와 한국 경제, 함께 돌아볼까요? 알파고와 이세돌의 격돌로 불어온 AI와 딥러닝 열풍, 사드 배치와 북한 핵실험 등 2016년 한국 경제에는 다양한 사건이 많았습니다. 또, 브렉시트와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 등은 세계에 불어온 보호무역과 자국 중심적 경제 정책을 여실히 보여주는데요. 2017년 새해에는 어떤 경제 키워드가 한국 경제의 핫이슈가 될지, 궁금해집니다. 정준영 2016. 12. 26. 더보기
직장인의 숨겨진 돈 찾기 – 계좌통합관리서비스 이용 방법 은행과 증권사, 보험회사 등 금융기관과의 거래가 끊기면서 까맣게 잊어버린 계좌가 있지는 않으신가요? 지난 8일 시작된 계좌통합관리서비스를 통해 휴면계좌를 조회하고, 뜻밖의 돈을 찾았다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래된 책 사이에 끼워둔 현금을 발견하는 것만큼 신나는 일인데요. 계좌통합관리서비스의 모든 것, 함께 살펴보시죠. 계좌통합관리서비스는 얼핏 인터넷에서 간단하게 이체를 할 수 있는 '계좌 이동제'와도 비슷해 보이는데요. 계좌이동제의 목적이 주거래 은행을 바꾸며 자동 이체 신청 정보를 한꺼번에 옮기는 데 있다면, 이번 계좌통합관리서비스는 잠자는 돈을 깨우고 계좌를 깨끗하게 정리하는 데 있습니다. 휴면계좌 조회, 정리를 통해 혹시 모를 금융 범죄에 대비해보세요. 정준영 2016. 12. 19. 더보기
연말정산 환급을 위한 마지막 12월의 준비, 연금저축보험, 보장성보험 가입하라 날씨가 추워지고 월급 인상도 꽁꽁 얼어붙은 요즘, 돈 나갈 곳은 왜 이리 많은지 다들 고민이시죠? 봉급생활자의 실수령액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인 연말정산 시즌이 점점 다가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2014년부터 연말정산 방식이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로 바뀌어 많은 근로자들이 연말정산은 더 이상 절세가 아닌 세금폭탄이 되어 버렸다는 하소연이 여기저기서 들려오고 있습니다. 근로자가 내년 초 연말정산에서 조금이라도 더 돌려받고 싶다면 올해가 지나가기 전에 준비해야 한답니다. 특히 연내 보험에 가입하면 연말정산 시 놀라운 절세혜택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지금부터 준비해야 할 연말정산 절세 팁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절세팁 1. 연금저축보험과 DC형 또는 IRP 절세혜택 연말정산 절세의 가장 대표.. 2016. 12. 13. 더보기
경제 한파 몰아치는 연말, 직장인 지갑 홀쭉하게 만드는 ‘지갑 브레이커’는 무엇? 설레는 연말입니다. 그러나 올해 겨울은 소비심리 위축과 내수침체로 인해 유달리 쌀쌀하게 느껴지는데요. 돈 쓸 일 많은 연말, 경제 상황이 얼어붙으면서 직장인의 지갑이 홀쭉 해지고 있습니다. 직장인의 지갑에서 월급을 ‘퍼가요~’하는 연말 지출 항목과 올해 보너스의 가능성에 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유독 춥게 느껴지는 연말. 가계 실질소득은 계속해서 내림세. 이로 인해 소비지출도 감소하고 있습니다. 경제 한파를 가장 먼저 느끼는 직장인들. 연말 늘어나는 지출에 부담이 더 크기만 한대요. 이에 대처하기 위해 연말 분위기도 포기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경제에 훈풍이 불어와 직장인들의 지갑도 두툼해지기를 기원합니다. 한화생명, 경제 이슈는 계속됩니다. 정준영 2016. 12. 12. 더보기
멋쟁이 노인들 전성시대, 시니어 시프트(Senior Shift)가 뜬다 출산율이 크게 높아지는 전후(戰後) 시기에 태어난 각국 베이비붐 세대는 인구 구조상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사회 각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70~80년대 일본 고도성장기를 이끌어 온 단카이(團塊) 세대로 대변되는 일본 베이비붐 세대는 은퇴 이후에도 소비 여력이 상당히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거대 소비 집단으로 부상한 일본의 중∙고령 세대 이미 초고령 사회(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를 초과한 사회)에 진입한 일본은 2030년이면 전체 인구의 약 1/3을 65세 노인이 차지할 전망입니다. 60세 이상 인구의 소비 총액은 이미 100조 엔을 넘는 초거대 시장으로 이들의 소비가 전체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30년이면 약 50%에 달할 것이란 분석(닛세이연구소)도 있습니다.. 2016. 12. 2. 더보기
‘저녁 있는 삶’ 외치는 직장인들, 연말 회식 문화가 달라진다 연말이 다가오면서, 직장인들의 달력은 약속으로 꽉 채워지고 있습니다. ‘연말 술자리에서 살아남는 법.’’상사가 선호하는 회식장소는?’ 등의 뉴스 기사도 자주 보게 되는데요. 예년과는 다르게 올해 들어 직장인들의 회식 문화는 변화의 조짐을 보이는 중입니다. 이와 같은 한국 회식 문화의 변화에는 김영란법 도입 등의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함께 살펴볼까요? 회식 문화가 변하면서 많은 직장인의 삶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저녁 시간, 술자리 회식으로 하루를 마감하기보다 다양한 취미생활을 즐기는 여유가 생긴 것이죠. 하지만 한 편으로는 사내 문화가 경직되고 가족같은 분위기가 사라져 아쉽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데요. 모두가 소통하며 즐기는 균형 잡힌 회식 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시간이 조금 더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2016. 11. 28. 더보기